본문 바로가기
  • 그 또한 지나갈 것이다.
  • 새가 없는 세상은 인간도 없다.
  • 세상만사 균형이고 조화다.
시사

주류와 비주류의 대결

by 홀쭉이 2017. 4. 18.

주류와 비주류의 대결

(2017년 대선)

2017.4.18

 

지난 촛불 시민혁명과 대통령 탄핵 이후 조기대선 정국에서

야당의 유력주자인 문재인 후보와 반(反)문재인 구도가 되어 버렸다.

 

처음에 야당 내부에서는 반 문재인의 진영논리를 '문재인 패권주의'라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대통령 후보와 당대표를 지낸 문재인이 예전에 노무현을 추종하던 소위 '노빠'의

지지에 힘입어 모든 정책결정과 공천권을 쥐락펴락한다고 해서 패권을 거론했다.

 

일반 국민은 예상치 못했던 놀라운 발견이자 공격이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문재인이 권력욕이 없다느니 카리스마가 부족하다더니 하다

갑자기 권력을 휘두르고 자신에게 동조하지 않은 동료들을 내치다니 정말 믿기 힘든 사태의 연속이었다.

아무튼 더민당의 중진들이 줄줄이 당을 옮기고 탈당을 하자 정말 그런가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이합집산과 탄핵정국의 와중에도 더민당은 제1당으로 건재했고

오히려 문재인 후보가 주창하는 적폐청산을 실행하는 순도 높은 개혁정당이 되어 있다.

반면 그외 당들은 100석도 안되는 꼬마 정당으로 도토리 키재기를 하고 있다.

 

탄핵 이후 조기대선 정국에서 기존 보수의 유력 주자들이 줄줄이 낙마하자

소위 적폐청산 대상이라하는 친박의 핵심인사들도 반 문재인을 외쳤고

심지어 야당의 내부경선에서 낙마한 주자들까지 문재인 패권을 거론하며 반 문재인 진영에 가담했다.

심지어 태극기 시위대라 불리는 탄핵 반대편의 극우(김진태, 윤상현, 조갑제)에서도 문재인만 아니면

다른 야당 주자(안철수)도 좋다는 지지발언을 했다.

 

왜 그리 문재인은 많은 적을 만들었고 반대진영에게 미운 털이 박혔을까.

그리고 반 문재인 진영 인물의 공통점이 무엇이고 그들이 문재인을 거부하며

얻으려 하는 것은 무엇일까.

 

단순히 1등 주자이고 유력후보이니 때리고 보는 걸까.

그렇게 보기에는 울나라 엘리트들의 너무 많은 에너지가 그쪽으로 몰리고 있지 않은가.

 

그렇다.

반 문재인의 실체는 우리사회 주류들이다.

좋은 학벌에 명문가 출신 혹은 오랜 기간의 정치입지와 고위 공직 혹은 성공한 기업가

오늘날 한국에서 어깨 으쓱하며 살아갈 수 있는 부류들이다.

 

하지만 문재인은 나름 영광의 역정으로 열심히 살아온 인생이지만 고난의 길이었다.

유년시절 뼈속 깊이 가난했고 고학을 하고 어렵게 사법고시를 패쓰하고도

판검사 임용도 받지 못하고 돈 못버는 인권변호사로 그리고 노무현을 따라 청와대에

입성을 했다지만 권력을 누리긴 커녕 쌔빠지게 궂은 일만 하고 다시 비주류로 돌아와야 했다.

문재인이 노무현을 따라 비서실장과 정무수석을 했다지만 재임 당시 그가 권력을 휘둘렀다든가

막후 실세였다는 추문 하나 만들지 않았다.

아무리 지금 다시 야당의 대선 유력후보라 하지만 그는 철저히 비주류로 살아왔다.

노무현도 대통령을 지냈지만 주류 근처에 잠시 머물다 다시 비주류로 되돌아온 것으로 봐야 한다.

 

'반 문재인'과 '문재인 패권'을 말하는 사람들은 평소에 멀쩡했다가도 때가 되자

그들의 본색을 드러낸 것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반 문재인을 외치는 주류들은 작금의 상황을 문재인으로 상징되는 비주류에게

주도권이나 기득권을 뺏길까 두려워 하는 것이다.

그것은 정부수립 이후 지난 70년 동안 그들이 쌓아올린 공든 탑이기도 하다.

하여 그들이 움켜쥐고 놓지 않으려 하는 것을 살펴보면 그들의 본 모습이 보인다.

 

 

주류와 비주류의 교체

그로 인한 권력과 부의 이동

 

아무튼 인제 그런 치열한 공방으로

이 나라 권력의 주인, 부의 주인이 국민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런 투명, 공정, 정의로운 사회만 되어도 우리 먹고 살기가 훨씬 나아질 것이다.

경제성장율 3%는 기본으로 깔고가는 것이고 우리의 경쟁력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KW(81)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 바로 세우기_1 (기업)  (0) 2017.06.06
2017년 대선 예측  (0) 2017.05.16
대리기사와의 대화  (0) 2017.03.19
보수 세우기  (0) 2017.02.19
문재인에게(1)  (0) 2017.01.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