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신공양
2009.6.10
1.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걸작 ‘최후의 만찬’을 자세히
감상한 적이 있는지? 예전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가
최근 ‘다빈치코드’라는 소설이 세상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 나도 다시 보게 되었다. 알고 보니 다빈치는
최후의 만찬을 아마도 수십개나 그렸던 것같다.
유럽의 제법 규모가 있는 성당에서는 더러 그 그림을
볼 수 있다. 어떤 것은 크기도 작고 다른 어떤 것은
성당벽 한 면을 차지할 만큼 큰 그림도 있다. 모두
손으로 그린 작품인 만큼 약간씩 다른 느낌과 감동이
있다. (왜 똑 같은 그림을 여러 개씩이나 그렸을까???)
예수의 임종 직전일(直前日)에 벌어진 일에 대해
비교도인 나는 잘 모른다. 하지만 짐작에 죽음을
앞둔 스승과 제자들과의 만찬장이 숙연하고 무거운
분위기여야 함에도 놀라고 분노하고 고성이 오가는
그야말로 난장판처럼 보인다. 그림에서는 그렇다.
미술평론가와 성서학자의 설명으로는 이해가 된다.
예수가 만찬장의 열두 제자중 누군가가 자신을 팔아
넘길 것이라고 했고 그 말을 들은 제자들은 놀라고
당황하며 서로 언성을 높이고 분노하며 당황해 하는
장면이라고 한다. 제자중 우리에게 가장 알려진
베드로, 유다, 요한이 예수의 바로 오른 편에 있고
그들의 표정과 행동이 주목된다. 제자중 가장 나이가
많고 좌장역활을 했던 베드로는 세례요한에게 흥분
하여 뭔가 얘기를 하고 있고 테이블위 오른손에는
칼을 쥐고 있다. 반면 세례요한은 조용히 베드로의
말을 듣고 있다. 한편 가롯유다는 테이블에 두 팔을
올리고 한 손에는 돈주머니를 쥐고 있다. 한편 그외
다른 제자들은 예수의 청천벽력 같은 얘기를 듣고
모두 황당하며 그 자초지종을 따지고 확인하려 하고
있다.
최후의 만찬 (중세 다빈치가 그린 표준작)
당시 상황을 보면 예수는 이미 유다가 자신을 배반하리
라는 사실도 그리고 그로 인한 자신의 죽음을 미리
알았고 그렇지만 도망치지 않고 담담히 죽음을 받아
들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너무도 지쳐있었던 것이다.
예수는 당시의 기득권이였던 이스라엘 제사장들로부터
혁명세력으로 고발당해 여러 차례 기소를 당하기도
했지만 모두 무혐의로 풀려났다. 하지만 당시 기득권의
끈질긴 공세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예수의 제자들을
이간시키기에 이르러 가롯 유다를 매수한다. 그리하여
그의 거짓증거로 예수는 결국 처형당한다.
예수를 뜯어먹는 악귀로 변한 제자들 (현대작)
그때나 지금이나 보수 기득권의 행태는 그렇다 치더라도
제자들의 불안과 배반은 흥미롭다. 베드로는 대가족을
거느린 가장(家長)으로 그리고 무리중 다소 재산이
있었던 편이라 예수 아래서 혹은 사후에 후계자로
지목받기를 원했다. (이것으로 ‘다빈치코드’의 스토리가
전개된다.) 반면 가롯유다는 열혈청년으로 이스라엘이
로마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예수를 혁명대장격으로 추앙
하며 따른다. 세례요한은 처음에는 예수와 동조하였지만
나중에 예수와는 정신적으로 좀 다른 차원의 세상을 꿈꾼
듯하다. 그리하여 예수는 기득권의 공세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자 혹은 동료들의 서로 다른 이해관계에서
무척이나 괴로웠던 것으로 짐작이 된다. ‘최후의 만찬’에
묘사된 예수는 인제 그 괴로움을 넘어서 차라리 죽음에
달관한 표정이다. 그러나 예수는 십자가에 못박혀 마지막
순간에 고통속에 피를 흘리며 이렇게 절규한다. “얄리
얄리 레마 사박타니……” (신이여!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
나이까?) 정말 인간 예수의 고통과 절규를 이해하고
싶다. 물론 기독교인들의 해석은 별개다.
예수는 당시 핍박받고 가난한 자들의 구세주였다.
기득권에게는 정적(政敵)일 뿐이였다. 예수가 나오는
성화(聖畵)의 배경을 보면 모두가 실내가 아닌 실외
(室外)이다. 산이나 강가, 들판, 황야 아니면 토굴
혹은 저자거리다. 그만큼 서민들의 편에서 그들과
고통을 같이 나누며 그들의 마음을 샀던 것이다.
예수가 죽어서 슬퍼한 것도 그들이였다. 하지만
예수는 죽어서 그들의 정신과 생활 속에 부활했고
지난 이천년을 이어왔다.
눈치 빠른 사람이라면 이쯤 되면 내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짐작이 갈 것이다.
바로 노무현을 죽인 작금의 상황이다. 그도 이땅의
가난하고 힘없는 자들을 위해 무리를 모으고 동분서주
하다 결국은 죽임을 당해야 했다. 보수기득권의
공세와 나중엔 그것으로 분열된 그의 지지자의 증언
으로 무너졌다. 귀향의 기쁨도 잠시 그는 그를 버린
국민과 지지자들 그리고 동료들에 절망하며 고통스런
날을 보냈다. 그리고 마지막 남은 동료들도 하나씩
보수세력에 무너지고 마지막 칼끝이 그에게 다가오자
더 이상 부지가 힘든 육체를 던져 버렸다.
억지스런 유추이고 비유인가?
그렇다면 노무현 죽음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KW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쉐이들 (0) | 2009.08.08 |
---|---|
투신공양_2 (등신불) (0) | 2009.08.04 |
잃은 것과 얻은 것 (0) | 2009.08.04 |
친구 (부제 : 노무현과 문재인) (0) | 2009.08.04 |
통계를 우습게 아는 나라 (0) | 2009.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