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그 또한 지나갈 것이다.
  • 새가 없는 세상은 인간도 없다.
  • 세상만사 균형이고 조화다.
문화.예술(영화·문학·음악·사진)

간양록 (看羊錄)

by 홀쭉이 2009. 9. 10.

 

간양록 (看羊錄)

 

2009.9.10

 

어제 퇴근하고 아파트로 들어서는데 경비아저씨가

듣고 있는 라디오에서 조용필이 통곡하듯이 부르는

간양록(看羊錄)이 흘러 나왔다.

 

간만에 반갑기도 했고 그 구성진 목소리를 그냥 지나

치기 뭣해서 끝까지 다 듣고 엘리베이트를 잡았다.

 

내가 조용필을 좋아하는 여러 이유중 그의 곡과 가사

가 우리민족의 한과 정서를 담고 있어서이다.   겉으로

뻔한 것보다는 곰곰이 생각해서 음미하며 베어나오는

사골의 육수같은 느낌이다.

 

 

 

'황진이'이도 내가 좋아하는 곡이다.  가사나 곡 그리고

구성진 창법 모두 절창을 이루는 기본이다.

 

그중 '간양록'은 내가 군제대후 PTC 써클모임에서

시끌벅쩍한 애프트미팅에서 어설프게 부른 적이 있다.

분위기깨는 노래이고 조용필이 웃고 말 내노래 실력

이였지만 사람들은 그 어색한 내노래를 더러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썸머캠프를 마치고 뒷풀이를

부산광한리 바닷가에서 했는데 그때 나는 또 분위기

에 걸맞지 않은 Neil Diamond의 'I am...  I said.'를

불렀다.  아....  그 어색함이란.)

 

암튼 간양록은 그노래말의 유래를 알고 더욱 애착이

갔던 노래였다. 

 

조선중엽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

의 대유학자였던 강항이 일본에서 고국을 그리워하며

간을 애이는 고통으로 쓴 글이 '간양록'이다.   실제

그는 일본에서도 조선선비로서 절개를 굽이지 않았고

그에 감동한 일본의 학자들의 도움으로 귀국할 수 있

었다.  일본체류 내내 목숨을 걸고 왜의 부당성과 귀국

을 주장하였고 심지어 일본정보를 조선으로 빼돌리기

까지 하였다.   2년 9개월간의 볼모생활에서 6차례나

목숨을 건 탈출을 시도하였을 정도로 그의 절개와

조국에 대한 그리움은 간절하였다. (80년초반 사극

으로 방영된 바가 있다.)

 

그런 그가 피눈물로 쓴 글이 '간양록'이다.  그리고

조용필은 애간장이 타도록 통곡하며 불러 강항의

간절함과 비통함을 대변하고 있다.

 

절창이요!!!!

 

 

 

간양록 (看羊錄)

 

신봉승작사, 조용필노래

 

이국 땅 삼경이면 밤마다 찬 서리고
어버이 한숨 시름 새벽 달일세

마음은 바람 따라 고향으로 가는데
선영 뒷산에 잡초는 누가 뜯으리

어야어야어야어야 어~ 어어~

어야어야어야아아~ 어야어~

피눈물로 한 줄 한 줄 간양록을 적으니
님 그린 뜻 바다 되어 하늘에 닿을세라


KW

 

 

 

   

'문화.예술(영화·문학·음악·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가을에 부르고 싶은 노래___김목경  (0) 2009.09.17
북소리  (0) 2009.09.15
겸재 정선의 그림과 일본민화  (0) 2009.09.09
해운대  (0) 2009.08.23
똥파리  (0) 2009.08.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