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그 또한 지나갈 것이다.
  • 새가 없는 세상은 인간도 없다.
  • 세상만사 균형이고 조화다.
시사

산림녹화와 산아제한

by 홀쭉이 2024. 5. 3.

일각에서 박정희 정권에서 가장 진취적인 치적으로 '산림녹화'(그린벨트 포함) '산아제한' 정책을 꼽는다.

 

전후 복구와 함께 궁핍을 면하기 위한 개발과 산업화의 절체절명의 대과제 속에서 자칫 성장속도를 늦출 있는 상반된 정책이었다.

 

한반도에 산지가 많아 숲과 나무가 많을 밖에 없다는 비아냥은 택도 아닌 망발이다. 애초에 헐벗은 산에서 시작했기에 산림녹화는 일부러 옷을 입혀야 하는 작업이었다. 어릴 시골에서 땔감을 구하려면 개의 산을 넘어야 겨우 지게에 짐을 채워 있을 정도로 마을 부근엔 온통 민둥산이었다. 당시 시골에서도 정부 규제로 나무하기가 쉽지 않았고 더러 산림직원에게 들켜 벌금을 물기도 했다.

 

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은 참으로 중요한 국책과제였고 전국민이 동원된 국민운동이었다. 오랜 기간 일관되게 시행하여 전후세대라면 어릴 적어도 나무 그루는 심었을 것이다. 그렇게 조성한 숲이 국토의 63% 정도로 핀랜드(74%), 스웨덴(69%) 일본(68%) 이어 OECD 4 수준이 되었다. 그것이 얼마나 대단한 업적이고 그렇게 조성된 숲이 주는 혜택이 얼마나 실감한다.

 

산아제한 정책도 마찬가지다. 당시 그런 정책적 캠페인이 없었다면 그런 정책 시행에도 지금 세계 최고의 밀도를 보이는 나라(평방키로 525)인데 남한은 그야말로 아귀다툼과 골육상쟁의 전쟁터가 되었을 것이다. 지금은 출산율 저하로 자연인구감소 추세가 되어 예전 그런 산아제한 정책의 성과가 반감될 있지만 여전히 최고의 과밀상황으로 고통받고 있다.

 

여기 동남아 개도국들에선 산업화와 도시화로 숲이 급격히 줄어들어 정글의 본고장에서 울창하고 장대한 밀림을 찾기가 쉽지 않다. 대신 길가에 산부인과 병원이 많이 보인다.

 

건기의 무렵. 건조한 열풍이 불고 먼지가 자욱한 캄보디아 깜퐁참에서 새삼 '거인 박정희' 추모한다. KW

 

 

PS. 울나라 공화정 역사에서 원조차관을 받기 위해 출장을 가서 외국정상과 직접 구걸협상을 했던 최고 지도자는 박정희 대통령이 유일하다. (미국의 케네디, 독일의 어데나워 대통령과 만나 차관협상을 했다.) 그의 시해(1979) 직전 이미 무역흑자로 달러 보유고가 있었기에 이후엔 국가 차원에서 차관을 들여올 필요가 없었다. 대통령 사후 10여년이 지나 1990년대부터 한국은 지난날 우리 처지의 개도국에 원조 공여국이 되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전 유감 (밴댕이 정책)  (0) 2024.08.02
한국인의 종특(種特)  (2) 2024.07.23
핵분열과 핵융합 에너지  (0) 2024.01.19
한국의 노인 빈곤율  (0) 2023.12.25
한국 전후세대의 분노  (0) 2021.12.29

댓글